주식 사야하는데 가격은 올라가는데 따라 사고 싶고 이게 고평가인지 저평가인지 고민하신적 있을까요??
그럴때는 고평가, 저평가를 판별하기에 어느정도 용어를 알고 있으면 주식투자할 때 도움이 될 것 같아서 주식투자 전 알아야할 용어 4가지에 대해서 설명 해드리겠습니다.
이해하기 쉽게 삼성전자를 예시로 들겠습니다.
현재 삼성전자의 주식은 1주당 59,000 입니다.
이 주당 가격만 보고 고평가되었는지 저평가 되었는지 확인하기 어렵습니다.
하지만 현재 삼성전자의 EPS, PER, BPS, PBR 은 아래와 같습니다.
EPS |
PER |
BPS |
PBR |
3,166 |
18.29 |
37,528 |
1.54 |
그럼 이 수치를 보고 어떻게 고평가 인지 저평가 인지 확인 할 수 있는 지 용어와 함께 설명해드리겠습니다.
1. EPS? ( Earnig Per Share )
EPS = ( 기업의 당기 순이익) ÷ ( 발행한 주식의 수 )
EPS 는 위의 공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
당기순이익이란 일정 기간의 순이익을 의미합니다.
당기순이익 = 해당 기업의 매출액 - ( 매출원가 + 판매비 + 관리비 + 영업외 수익 + 등등)
결국 그 기업의 정말 순수한 이익을 보고 당기순이익 이라고 합니다.
그 당기순이익에서 현재 기업에서 발행한 주식의 수를 나누었을때 얼마가 나오는 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즉. 예를 든 삼성전자의 순이익에서 발행한 주식의 수를 나눴을 때 3,166원라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그럼 이게 왜 필요할까요?
위 EPS를 기억하고 다음 글을 보면 이해 될거라고 생각이 듭니다.
2. PER? ( Price Earning Ratio )
현재 주가 ( 57,900 ) = EPS ( 3,166 ) × PER ( ??? )
즉. 지금 이 기업의 한 주당 가격이 순수이익당 주가에 비해서 얼마나 높고 낮은지 알 수 있도록 수치화 한 것 입니다.
삼성전자의 PER 은 18.29입니다.
지금의 당기순이익( 3,166 )의 18.29년이 지나야 현재 주가 ( 57,900 )를 맞출수있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.
단기순이익의 18.29배가 현재 주가라는 것입니다.
여기서 기업의 주가가 고평가 인지 저평가인지 추측해볼 수 있습니다.
3. BPS? ( Book-value Per Share )
BPS = ( 기업의 자산 ) ÷ ( 발행한 주식의 수 )
특정 기업의 총 자산 가치에서 현재 발행한 주식의 수를 나누었을 때 얼마가 나오는지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기업의 자산 = 기업의 총 자산 - 기업 부채
기업의 자산은 해당 기업의 총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수한 기업의 총 자산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.
4. PBR ( Price Book-value Ratio )?
주가자산비율이라는 용어가 어렵게 다가 올 수있어
예를 든 삼성전자의 BPS는 37,628원 입니다
그리고 현재 삼성전자의 주가는 57,900원 입니다.
여기서 PBR은 삼성전자의 BPS와 실제 거래되고 있는 삼성전자의 주식의 차이를 수치화 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.
현재 주가 ( 57,900 ) = BPS ( 37,628 ) × PBR ( ??? )
즉. 지금 이 기업의 총 순자산에 대한 한주의 가격에 비해 실제 거래되는 주가가 얼마나 높은지 낮은지를 알 수 있습니다.
삼성전자의 PBR은 1.54 입니다.
삼성전자의 총 순자산보다 현재 거래되는 주식이 1.54배 더 높게 측정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.
고평가 저평가를 추측할 수 있는 4가지의 용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
위 4가지로 고평가나 저평가에 대해서 어느정도 추측은 할 수있습니다.
하지만 이 용어에 대한 수치는 과거 또는 현재에 대한 수치입니다.
그 기업의 가치가 미래에 더 높을 수 있고 낮을 수 있습니다.
그래서 이 수치에 대해서는 투자 전 어느정도 참고를 하고 무작정 고평가나 저평가 되어있다고는 생각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.
'투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금사는 방법 3가지 총 정리 (0) | 2020.09.19 |
---|---|
해외주식 해외ETF 배당금 사이트 방법 정리!! (0) | 2020.09.13 |
국내주식 배당금 나오는 사이트 및 방법 정리!! (0) | 2020.09.12 |
해외 ETF 필요한 6가지 간단하게 찾는법 ( 정리 ) (0) | 2020.08.20 |
삼성전자,애플 등 IT섹터 상승 이유 및 특징 5가지 정리!! (0) | 2020.08.15 |